
지방 소멸의 근본 원인은 단지 인구 감소나 출산율 저하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지역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권한과 역량을 잃어버린 상태에서 비롯된다. 오랫동안 대한민국의 지방정책은 중앙-지자체-주민으로 이어지는 일방향 구조였다. 그 속에서 주민은 늘 “정책 대상”이었지, “정책 주체”가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지방 소멸 위기를 정면으로 마주한 일부 마을에서는 주민 스스로 마을의 방향을 설계하고, 공간과 인프라, 사람과 관계까지 기획하는 실험적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참여가 아니라, 마을을 다시 살아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주민 주도의 계획이며, 그 자체로 지방 소멸을 늦추는 핵심 전략이자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주민 주도 마을계획의 실제 사례와 구조,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