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바로 귀촌 유도 정책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과 도시민을 대상으로 각종 이주 지원, 창업 자금, 주택 제공 등을 통해 지방 유입을 꾀하고 있다. 그런데 통계를 보면 귀촌 인구는 분명 늘고 있는데, 정착률은 낮고, 실제 마을은 여전히 비어 있는 곳이 많다. 왜일까? 그 핵심은 바로 ‘정착’이다. 지방 소멸의 근본적인 문제는 단지 사람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살 수 없는 구조’에 있다는 데 있다. 한 번 떠난 이가 다시 돌아오고, 낯선 이가 오래 머물기 위해서는 단순한 주택과 일자리 이상의 조건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귀촌 이후의 정착이 왜 어려운지, 그리고 지방 소멸을 늦추기 위한 ‘진짜 정착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들여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