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33

지방 소멸을 막는 주민자치의 새로운 모델

지방 소멸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인구가 줄고, 청년이 떠나고, 노년층만 남은 마을에는 학교, 병원, 상점 등 삶의 기반이 하나둘 사라진다. 그 과정은 외부에서 보기엔 자연스러운 흐름 같지만, 실제로는 내부의 구조가 무너졌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이 ‘주민이 마을을 운영할 힘을 가졌는가’라는 질문이다. 지방 소멸을 막는 진짜 동력은 행정이나 정책이 아니라, 바로 그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마을을 함께 꾸려나가는지에 달려 있다. 주민자치란 단지 회의에 참석하거나 의견을 내는 것이 아니다. 마을의 문제를 직접 발굴하고, 해결 방식을 고민하며, 예산과 공간을 주민 스스로 결정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제는 중앙에서 내려오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에서 출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주..

지방 소멸 2025.08.03

지방 소멸 시대의 ‘먹거리 자립’ 전략: 로컬 푸드 시스템 구축

지방의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문제는 학교의 폐교나 병원 부족 같은 인프라 붕괴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위기는 ‘먹거리’에서 시작된다. 지역 안에서 소비되는 식재료의 대부분이 외부에서 유입되고, 생산된 농산물은 다시 외부로 나가면서 마을 내 자급 구조가 완전히 무너지고 있다. 특히 중간 유통과 물류가 줄어든 농촌에서는 식자재 접근성 자체가 떨어져, 농사를 짓는 마을에서조차 건강한 먹거리를 구하기 힘든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로컬 푸드 시스템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지방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구조를 회복하는 것은 곧 자립과 연결되고, 이는 지방 소멸을 늦출 수 있는 핵심적인 대안으로 작용한..

지방 소멸 2025.08.02

지방 소멸 대응형 ‘슬로우 라이프’ 마을의 가능성

도시는 빠르게 움직이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정보도, 교통도, 생계도 속도를 요구하고, 그 속에서 놓치는 것은 삶의 리듬이다. 반면, 지방은 상대적으로 느리다. 오가는 이가 적고, 일의 흐름도 계절을 따라 움직이며, 사람들의 생활 반경도 좁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그 ‘느림’이 지금 지방 소멸을 막을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단순히 귀농이나 귀촌의 트렌드가 아니라, 도시의 소모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삶의 균형을 회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슬로우 라이프’를 추구하며 지방을 다시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슬로우 라이프는 더 느리게 사는 것이 아니라, 더 의식적으로 살아가는 방식이다. 이 개념이 마을 단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면, 지방은 속도에서 밀린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중심으로 다시 태어날..

지방 소멸 2025.08.01